실존철학에 대해 전체적으로 풀이한 개설서.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실존철학의 기본 문제들을 추려서 그 하나하나를 깊이 있게 풀이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존철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넓고 깊게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저자소개
역자 : 최동희 역자 최동희는 1925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나 북청농업학교를 졸업하고 1948년 고려대학교 철학과 및 대학원을 마치고 「신후담 및 안정복의 서학비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1961년 고려대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면서「도이치고전철학」,「현대독불철학」,「실존철학」등의 강좌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교양철학 입문」공저 일신사?「철학개론」고려대 출판부?「윤리」고려대 출판부?「동학의 사상과 운동」성균관대 출판부 등이 있고
역서로는
「현대철학의 근본조류」Landgrebe, 법문사, 1961?「동학경전」고우사(1961)?「철학이란 무엇인가?」Heidegger 「세계사상전집」34권, 삼성출판사 1982?「동경대전」「한국사상전집」4권, 삼성출판사 1981 등이 있으며 ?「하이데거의 언어관」을 비롯한 동?서 철학에 걸쳐 다수의 논문이 있다.
2장. 실존하는 사상가 1. 실존 개념의 근원_26 2. 키에르케고르의 실존하는 사상가라는 개념_28 3. 생철학에 대한 관계_32 4. 흔히 있는 수 있는 오해_34
3장. 실존적인 경험 1. 실존적인 경험의 수행_37 2. 그리스도교적인 해석에 대한 관계_40 3. 아시아적인 사고에 대한 관계_44 4. 우나무노_46
4장. 실존이라는 개념 1. 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요약적인 정식_48 2. 자기 자신에 대한 관계_51 3. 초월자_53 4. 현존재와 실존_56 5.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이원설_58
5장. 세계에 대한 관계 1. 세계내존재_60 2. 세계의 불안성_63 3. 릴케가 말하는 인간의 불안정성_67 4. 현존재의 피투성_73
6장. 인간과 공동사회 1. 공존성_75 2. 단독자와 ‘세인’_77 3. 공담 ? 호기심 및 애매성_80 4. 완전한 세계 개념_84 5. 교제_86 6. 실존적인 공동사회_89
7장. 상황과 한계상황 1. 상황_92 2. 상황의 구속성_95 3. 한계상황_97
8장. 불안 1. 실존철학에 대한 불안의 의의_103 2. 공포와 불안_105 3. 불안과 무_107 4. 자유에서 오는 현기증으로서의 불안_109 5. 싫증 ㆍ 우울증 및 절망_114
9장. 죽음에 대한 문제 1. 죽음에 대한 문제의 의의_120 2. 로만티시즘적인 입장_124 3. 반론_127
10장. 릴케에 있어서의 죽음 1. 릴케의 정신발전 속에서 죽음의 문제가 차지하는 위치_133 2. 삶 속에 있는 죽음_135 3. ‘큰’ 죽음과 ‘작은’ 죽음_137 4. 열매로서의 죽음_139 5. 말년의 릴케에게 일어난 변화_142 6. 인간의 연약함_147 7. 실존철학을 위한 성과_151
11장. 죽음에 대한 실존적인 관계 1. 실존적 죽음의 문제_154 2. 삶의 유한성_158 3. 죽는 시기의 불확정성_160 4. 죽음의 의식이 삶에 주는 영향_163
실존철학 최고의 개설서!! 이 책은 실존철학에 대해 전체적으로 풀이한 보기 드문 값진 책이다. 그 내용에 있어서 실존철학의 기본문제들을 매우 알맞게 추려서 그 하나하나를 치우침이 없이 그리고 깊이있게 풀이하였다. 그리고 실존철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넓게, 그리고 깊이 뚫어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철학하는 사람 뿐만이 아니라 일반인도 읽을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