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 명사찰 답사를 위하여> 시리즈, 충청도 제1편. 불교 전통이 유구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가치가 큰 문화재들을 보유한 충청도 지역 사찰을 살펴보고 있다. 각 사찰의 숨겨진 문화재와 뛰어난 건축미, 설화, 고승들의 행적을 쉽게 해설하였다. 또한 사찰 주변 볼거리를 정보로 제공하여 사찰기행서와 여행서를 겸하였다.
충청도 편에서는 충남 내륙과 서해안에 인접한 수덕사, 개심사, 무량사를 소개한다.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꼽히는 대웅전이 있고 우리나라 불교가 처음 시작된 곳인 수덕사, 자연 목재의 아름다움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천년 역사의 개심사, 조선 중기 건축의 장중함을 드러내는 극락전과 충청도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대형 삼존불상이 돋보이는 무량사를 만나볼 수 있다.
<우리 땅 명사찰 답사를 위하여>시리즈, 충청도 제1편. 이 시리즈는 각 지역별로 불교전통이 유구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가치가 큰 문화재들을 상당수 보유한 사찰을 둘러볼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지역별로 나누어 한 권에 3~4곳의 가람을 묶되 각 사찰의 숨겨진 문화재와 뛰어난 건축미, 설화, 고승들의 행적을 쉽게 해설하였다. 아울러 사찰 주변 볼거리를 정보로 제공하여 사찰기행서와 여행서를 겸하였다.
<충청도로 떠나는 사찰기행>에서는 충남 내륙과 서해안에 인접한 수덕사?개심사?무량사가 소개되었다.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꼽히는 대웅전(국보 제49호)이 있으며 우리나라 불교가 처음 시작된 곳이기도 한 수덕사, 작지만 다듬지 않은 자연 목재의 아름다움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천년 역사의 개심사, 유례가 흔치 않은 2층 목조 건물형태로 지어져서 조선 중기 건축의 장중함을 드러내 주는 극락전(보물 제356호)과 현존하는 조선 중기 불상 가운데 충청도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로 꼽히는 극락전의 대형 삼존불상이 돋보이는 무량사와 이 3곳 사찰 일대들의 여행?문화 정보가 담겨 있다.
특히 개심사 편에서는 ‘백제의 미소’로 불리는 서산마애삼존불상과 ‘우리나라 석조미술사의 시원’이라고 불리는 태안마애삼존불상도 함께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