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지식의 보고로 천년 후에도 더욱 찬란하게 빛을 발하게 될 사기를 비롯한 논어, 맹자, 서경, 시경, 삼국지연의, 손자병법, 전국책, 정관정요 등 중국의 수많은 고전과 삼국사기, 삼국유사, 조선왕조실록, 한국사 등에서 봅아낸 제왕과 재상, 영웅과 현자들의 성어를 통하여 그 시대에 실제 있었던 재미있는 사례들을 이야기로 엮어 놓았다. 독자로 하여금 세상을 보는 안목을 높이고, 인생 백년을 살아가는 인프라를 구축하도록 도움을 주는 책.
저자소개
목차
1장 성공과 처세 2장 결단의 용기와 인내 3장 정치와 병법 4장 경세지략과 법칙 5장 배움과 학문 6장 말의 힘과 배신 7장 위기 대처의 재치와 무상 8장 수신과 어리석음 9장 탐욕의 만행과 아첨 10장 인덕과 보은 11장 우정과 충효 12장 사랑과 풍속
'동양 지식의 모든 것'이라는 부제를 달고있는 "유식의 즐거움", 제목이 좀 노골적이다. 이 책 읽으면 유식해진다고...
'동양 지식의 모든 것'이라는 부제를 달고있는 "유식의 즐거움", 제목이 좀 노골적이다. 이 책 읽으면 유식해진다고 너무 쉽게 내보인다. 헤픈 사람처럼. 내용과는 상반되는 제목이다. 절치부심(원수를 갚기 위해 혹은 성공을 위해 노력 하는 것), 와신상담(원수를 위해서 자신을 괴롭히면서 어려움을 참는 것)......대부분의 고어들이 참고 기다리며 수양을 쌓아라는 이야기와 통한다. 그런 내용에 비해 제목은 아주 직설적이다.
지루하게 읽었다. 한자가 나오는 이야기들은 지루하다. 내게는.
올해 봄에 우리 고장에 "효 예절 골든벨"이라는 행사를 가졌었다. 작은 아이가 거기에 출전했다. 우리는 밤잠 설쳐가면서 효와 예절에 관한 사자성어를 달달달 외웠다. 명심보감과 효경, 논어 등 평소에 거들떠 보지도 않던 책에 파묻혀 지냈다. 결국 떨어지긴 했지만 그때쳐럼 공부 하면 IQ가 단번에 확 올라가지 않을까 싶었다.
내게 있어서 동양의 옛지식은 그런 계기가 있어야 보게 되는 책이다. 그냥 보니까 진짜 재미없다.
세상사람 모두들 유식해 지고 싶을 것이다. 책을 읽는 이유 또한 그 책안의 지식을 습득하여 결국엔 유식해 지기 위한...
세상사람 모두들 유식해 지고 싶을 것이다. 책을 읽는 이유 또한 그 책안의 지식을 습득하여 결국엔 유식해 지기 위한 목적이 아닐까?
하지한 우리는 유식이란 말의 어감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당신을 정말 지식이 많은 사람입니다. 라고 말하는 것과 당신 정말 유식 하군요.. 라고 말하는 것의 어감이랄까.. 웬지 유식이라는 말에게 나오는 느낌을 좀더 천박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그러한 인간의 가장 궁극적이고 원초적인 탐구욕을 마구 자극하고 있는 그대로 말하는 타이틀명... 유식의 즐거움 이다. 어감 그대로. 학문이 있어 견식이 높다. 지식이 있다 그것 아닌가? 그런데 왜 학자들은 유식하길 꺼려 하는가? 왜 지혜롭고 총명하긴 좋아하면서 유식하긴 멀리하는가? 어쩌면 유식이란 말속엔 우리가 느끼는 작은 지식이라는 약간의 선입견도 포함하고 있음을 느껴서가 아닐까? 이 책속엔 숫자로 세기에도 어려운 많은 사자 성어들이 들이었다. 그러면 이 책은 사자 성어 책인가? 아니, 그렇게 말히기엔 작가가 이 책에 들인 정성이 너무 많다. 이 사자성어가 생겨나게된 배경과, 그 뜻풀이 까지 꼼꼼하게 풀어가며,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을 정말로 유식하게 만들기로 작정을 하고 지필을 하신 것 같다. 그러면서도, 너무 천박한 지식으로 보이지 않게하기 위해 약간의 어휘를 팁으로 가미하면서 말이다. 유식의 즐거움의 소재는 동양 지식을 모든 것이다. 동양의 사상과 철학가 그리고 현인들의 말들을 풀어 놓아 읽는 재미와 함께, 책을 다 읽고 난 후에는 진짜 내가 유식해 진 것 같은 약간의 우쭐함을 느낄수 있게하는 책이었다.
* 유식의 즐거움이라고? 무식의 괴로움(?)이 더 적절할 것
같다. 왜냐하면 이 책 내용의 70-80%는 아는 내용이라...
* 유식의 즐거움이라고? 무식의 괴로움(?)이 더 적절할 것
같다. 왜냐하면 이 책 내용의 70-80%는 아는 내용이라는 거고
알지만 매번 원문은 제대로 기억해 내지 못한다는 것, 그래서
마음이 썩 편치 않다는 거다.
언젠가는 중국의 고전들에 도전해 봐야겠다는 오기를 갖게해준
고사성어 해설집.
* 寬猛相濟
지나치게 엄격하면 백성들이 두려워 하고 지나치게 너그러우면
게을러지기 쉽다. 그러나 우선은 너그러워야 하고 그 다음에
엄해야 한다. 너그러움은 엄격함에 비해 훨씬 장악력이 떨어
지지만 효과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 駟不及舌: 4頭마차도 혓바닥에 미치지 못한다.
* 玩人喪德 玩物喪志
사람을 가지고 놀면 덕을 읽고, 물건을 가지고 놀면 뜻을
잃는다.
* 利令智昏: 利는 지혜를 어둡게 한다.
* 盜亦有道: 조직을 이끄는 자는 道가 있어야 한다.
* 聞過則喜
잘못됐다는 말을 들으면 기뻐한다.
부하들에게 言路를 열어 놓은 지도자는 성공하고 그렇지 못한
지도자는 실패한다.
* 望洋之歎
남의 원대함에 감탄하고 나의 미흡함을 부끄러워 한다.
일반 고사성어 중심으로 나와있어서..
보기 편하고..
짧은 시간 안에 볼수있어서 매우 실용적이였다.
무식을 벗...
일반 고사성어 중심으로 나와있어서..
보기 편하고..
짧은 시간 안에 볼수있어서 매우 실용적이였다.
무식을 벗고 유식을 입는다!
촌철살인의 재치와 군계일학의 기상이 담긴 지식의 보고!
살아있는 지식의 보고로 천년 후에도 더욱 찬란하게 빛을 발하게 될 사기를 비롯한 논어,..등..
여러가지 일화가 담겨있다.
간만에 한문으로 가득찼던 나의 생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