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이 보이는 공학수학』은 공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학을 학습하기 위한 교재이다. 공학의 관점에서 해당 장을 배워야 하는 이유와 다른 장과의 관계 설명하고 있다. 핵심 개념과 공식을 미리 볼 수 있는 ‘알아 두어야 할 개념과 공식’을 제시하고, 개념 이해와 응용력 향상을 위한 응용 예제와 함께 상세한 풀이 수록했다.
저자소개
저자 : 장윤석 저자 장윤석은 부산대학교에서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후 부경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일본 토호쿠(東北)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일본 츠쿠바의 산업종합기술연구소에서 객원 연구원,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객원 교수를 지냈고, 한국음향학회, 대한의용생체공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6년 이후부터 국립 부경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도서 장점(마케팅 포인트) ① 공학의 관점에서 해당 장을 배워야 하는 이유와 다른 장과의 관계 설명 ② 해당 장의 핵심 개념과 공식을 미리 볼 수 있는 [알아 두어야 할 개념과 공식] 제시 ③ 개념 이해와 응용력 향상을 위한 [기본]-[응용] 예제와 함께 상세한 풀이 제공 ④ 연습문제 해답 제공(풀이 제외)
■ 도서 특징 【누구를 위한 책인가】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공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학을 학습하기 위한 책으로, 고등학교에서 배운 수학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이 책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독학을 하는 학생이 봐도 무리가 없도록 쉽게 설명했으므로 공학수학 강의를 듣지 않았거나 수업 중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을 보완하고 싶은 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을 다루는가】 (→상세이미지 1참조)
이해하는 만큼 수식이 보인다
공학과 수학은 대체 어떤 관계가 있을까? 전 세계적으로 재미있다고 소문난 영문 소설이 있다고 하자. '영어'를 아는 사람은 소설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의 눈에는 의미 없는 낙서에 불과할 것이다. 공학과 수학의 관계도 그와 같다.
다양한 수식으로 표현된 공학의 세계를 이해하려면 가장 먼저 수학이라는 언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수식의 의미와 전개 과정에 대한 친절한 설명과 예제에 대한 상세한 풀이를 담아 '마침내' 수식이 보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책의 특징】 ㆍ공학의 관점에서 해당 장을 배워야 하는 이유와 다른 장과의 관계 설명 ㆍ해당 장의 핵심 개념과 공식을 미리 볼 수 있는 [알아 두어야 할 개념과 공식] ㆍ수식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과 생략되지 않은 전개 과정 ㆍ수학적 개념 이해와 응용력 향상을 돕는 [기본]→[응용] 예제 및 상세 풀이 ㆍ스스로 예제를 풀어볼 수 있게 도와주는 힌트를 [key point]로 제시 ㆍ연습문제 해답 제공(풀이 제외)
■ 부/장별 내용 요약 _무엇을 배우나? 이 책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수학을 1장에 실었다. 따라서 1장을 먼저 공부해서 그 동안 잊고 있었거나 몰랐던 내용을 정리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장을 시작할 때마다 해당 장에서 사용될 개념과 공식을 정리해 두었으므로 반드시 숙지한 뒤에 해당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하기를 권한다.
① 공학수학의 기초(1장) 공학수학을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될 수학적인 내용을 담은 것으로, 대수방정식, 미분과 적분, 삼각함수 등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② 미분방정식(2장~6장) 2~4장은 1계 미분방정식에서 고계 미분방정식까지 일반적인 미분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다룬다. 5장은 고윳값과 고유벡터를 이용하여 연립미분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6장은 해를 급수로 두고 계수를 구해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다룬다.
③ 라플라스 변환(7장) 라플라스 변환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았다.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는 법부터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법까지 설명한다.
④ 선형대수학(8장~10장) 선형대수학이란 용어로 집약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8장은 행렬과 행렬식을, 9장과 10장은 벡터의 미분법과 적분법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⑤ 푸리에 해석과 편미분방정식(11장~13장) 11장~12장은 푸리에 급수, 적분 및 변환 등 푸리에 해석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13장은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⑥ 복소수 해석(14장) 복소수와 복소함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복소수를 정의하고, 복소변수로 표현되는 복소함수와 복소해석함수에 대해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