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그동안 써 왔던 이상 관련 글을 묶은 것이다. 가장 오래된 것은 1996년, 최근 것으로는 2010년에 쓴 글이 있다. 대개 《이상 소설 연구》(1999) 이전에 썼던 이상 시 관련 논문들과 《이상 소설 연구》 이후 쓴 이상 관련 논문을 집성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 나온 이상 연구 성과를 다시 정리했으며, 연구 서지도 추가하였다. 또한 그전에 쓴 글의 일부는 수정·보완하였다.
저자소개
저자 : 김주현 저자 김주현은 밤하늘에 별이 하늘 가득 빛나는 소백산 자락 부석에서 태어났다. 자라면서 한훤당 후손으로서의 가통을 적실히 지켜나가라는 가친의 뜻에 따라 학문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상 김동리 최인훈 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으며, 최근 신채호를 비롯한 애국계몽기 문인들에 대해 집중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상소설연구》(1999), 《정본 이상문학전집》(전3권, 2005) 《신채호문학연구초》(2012) 《김동리소설연구》(2013) 등이 있으며, 편저로는 《그리운 그 이름, 이상》(공편, 2004) 《백세 노승의 미인담》(2005), 《단재신채호전집》(2008) 등이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목차
제1부 고증과 감별 이상 문학에 관한 몇 가지 주석 이상 유고의 발굴 및 정리 이상 문학의 텍스트 확정 문제 이상 일문시 번역과 텍스트 확정 이상 문학의 텍스트 확정과 주석 이상 문학의 주석학
제2부 분석과 해석 <12월 12일>과 사랑의 대위법 <날개>의 실험성과 문제성 이상 소설과 여성 형상화 <오감도 시 제1호>에 대한 분석 <절벽>의 기호학적 접근 이상 시의 내적 상호 텍스트성 <황의 기> 계열시의 상호텍스트성 이상 시의 창작 방법 이상 시에 나타난 혼종 언어 <혈서삼태>의 '잉크와 피'론 이상 문학에서 성천 체험의 의미 이상의 독서 행위와 장자적 사유
제3부 정리와 평가 1980년대 이전의 이상 연구 현황 1990년대 이상 연구의 성과와 한계 2000년대 이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상 문학 연구와 한국문학의 현대성
이 책은 그동안 써 왔던 이상 관련 글을 묶은 것이다. 가장 오래된 것은 1996년, 최근 것으로는 2010년에 쓴 글이 있다. 대개 《이상 소설 연구》(1999) 이전에 썼던 이상 시 관련 논문들과 《이상 소설 연구》 이후 쓴 이상 관련 논문을 집성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 나온 이상 연구 성과를 다시 정리했으며, 연구 서지도 추가하였다. 또한 그전에 쓴 글의 일부는 수정·보완하였다.
우리의 근대문학사, 특히 소설사는 리얼리즘의 형성과 모더니즘의 전개로 설명할 수 있다. 이상의 문학은 1930년대 모더니즘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그가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형성함으로써 우리의 모더니즘 문학에 기여한 공로는 시, 소설 어느 분야에서도 소홀하게 취급받을 수 없다. 나아가 이상의 문학은 1950년대 후반기 동인들을 비롯하여,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이르는 모더니스트, 199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스트 시인, 소설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의 문학은 과거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다. 무엇보다도 이상을 높이 평가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가 근대 문학사에서 화려한 섬광을 발했기 때문이다. 그 섬광이 너무나 아름답고 강렬했기에 그 여파는 여전히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으며, 또한 많은 이들이 그의 빛을 이어받으려고 한다. 한국문학은 이상을 통해 비로소 참된 현대성을 획득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