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에 입문하는 관련자를 위한 지침서. 생소한 위피(이동통신 단말기용 응용프로그램)을 초보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예제들로 이루어져 있고, 다양한 예시와 쉬운 해설, 친숙한 게임들로 구성되어있다. 부록으로 위피 수쿨과 함께하는 위피 모바일 프로그래밍 CD 1장이 포함되어있다.
저자소개
◆ 김석구
위피스쿨 운영자
다수의 웹사이트 기획 및 개발
SKT, KTF, LGT 각종 유무선 서비스 기획/개발
MCP, SCJP 자격증 보유
현 솔루션 개발팀 파트장
◆ 김한규
위피스쿨 운영자
다수의 웹사이트 기획 및 개발
SKT, KTF, LGT 각종 유무선 서비스 기획/개발
유무선 연동 환타지 게임 개발
현 솔루션 개발팀 팀장
◆ 안종현
위피스쿨 운영자
다수의 웹사이트 기획 및 개발
SKT, KTF, LGT 각종 유무선 서비스 기획/개발
현 솔루션 개발팀 파트장
목차
Part 1 위피 소개
[Chapter 01 WIPI란 무엇인가?] 01 WIPI의 탄생 및 배경 02 WIPI 규격/구조 03 WIPI 용어정의, 주요 기능, 특징 04 WIPI의 효과 및 향후 전망
[Chapter 02 WIPI 표준 API ] 01 HAL API 02 BASIC API(JAVA) 개요 03 BASIC API(C) 개요 04 WIPI 2.0 API Overview
[Chapter 03 WIPI 플랫폼 개발환경 구축 ] 01 WIPI 플랫폼 개발환경 02 JDK 설치 및 환경설정 03 WIPI 플랫폼 에뮬레이터 사용하기 04 각 이통사 에뮬레이터 사용하기 05 각 Editor 환결설정/ 실행
Part 2 위피 개발하기
[Chapter 04 WIPI Programming ] 01 Clet이란? 02 Jlet이란? 03 Jlet 기초 프로그래밍
·Chapter별 내용요약
[Part 1. 위피 소개]
위피란 무엇인가? 위피의 생성 배경 및 기존 무선 애플리케이션 플랫폼과의 차별성에 대한 설명과 위피의 주요 기능 및 API의 개념 등 간단한 예제를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 및 예제를 통해 다음 파트에서 이루어질 응용 단계에 대한 기본 학습능력을 배양하고, 익숙해지는 시간을 갖는다. 응용단계에 앞서 기본환경에 따른 구축과정을 소개한다. 이통사별 SDK 설치 및 기본 개발 환경과 기본 에디터에서의 개발을 편리하게 해주는 각 종 환경 설정 과정을 소개한다.
[Part 2. 위피 개발하기]
Part 2에서는 위피 플fot폼 환경에서 각종 화면구성 컴포넌트 사용법과 이벤트처리, 그래픽 관련한 기초 프로그래밍을 다룬다. 그 외에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입출력, 입출력 스트림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배운다. Part 3에서 학습할 실전 응용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 API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Part 3. 위피 응용프로그램]
Part 3 에서는 앞서 배운 기초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흔히 접할 수 있는 위피 게임을 직접 개발해본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테트리스, 개구리 게임 등을 개발함으로써 기초부터 다양한 응용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서 자신이 구상했던 컨텐츠를 기획하고 설계해서 실전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해 보자.
[Part 4. 위피 상용화서비스]
2004년 6월 현재 이동통신사별 상용화 절차에 대해서 소개한다. SKT, KTF, LGT 각 이통사 별 상용화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사업 제안을 시작으로 상용화 과정 권한 획득, 각 종 검수 절차 그리고 마지막 상용화 시점에 이르기까지 step by step으로 소개하여 차후 자신의 성과물을 일반 사용자들이 다운 받아 이용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설정해보자.
모바일 관련 개발을 처음하는 초보자부터 중급 개발자를 위한 위피 관련 서적으로 위피 하드웨어 플랫폼 HAL에 대한 이해와 기존 모바일 개발자가 실제로 위피 기반의 모바일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예제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파트와 15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트 1에서는 위피가 무엇인가 개념을 잡고, 파트 2에서는 위피 프로그램을 하기 위한 플랫폼 환경 설정, 위피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본다.
파트 3에서는 개구리게임, 테트리스, 스파이더 등의 게임 만들어 보자. 마지막 파트 4에서 상용화 서비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